GC는가스크로마토그래피라고 한다. 고정상(固定相)에 흡착성이 있는 고체의 분말 미립자를 사용하는 기체-고체크로마토그래피와, 적당한 비활성 고체분말의 표면에 비휘발성 액체를 보유시킨 기체-액체크로마토그래피로 나뉜다. 전자는 보통 끓는점 400 ℃ 정도까지의 유기화합물 전반에 걸쳐 분석을 할 수 있고, 후자는 무기화합물의 기체 및 끓는점이 낮은 탄화수소의 분석에 적합하다. 나선모양으로 감은 금속관(column이라 한다)에 활성탄 ·실리카겔 ·실리콘 ·그리스를 삼투시킨 규조토 등을 충전하고, 여기에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를 흡착시킨 다음 수소 ·헬륨 등의 기체(carrier라 한다)를 통과시키면 컬럼의 다른 끝에서 시료의 성분기체가 흡착성이 작은 성분부터 차례로 단리(單離)되어 나온다. 이때, 컬럼에 들어가기 전의 캐리어기체와 컬럼에서 나온 기체의 열전도율을 비교하여 검출한다. 즉, 캐리어기체 속에 다른 기체가 들어 있을 때의 열전도율의 차를 측정하여 기록시킨다. 시료를 주입장치로 주입한 다음 나올 때까지의 시간으로 정성분석을 하고, 기록된 곡선의 면적으로부터 정량분석을 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피는 분석을 신속히 할 수 있고, 시료가 소량이라도 가능하며(기체이면 몇 mℓ, 액체이면 약 0.05 mℓ 정도), 또 기체분석으로는 분리하기 곤란한 혼합물의 분석에도 적용할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이 있기 때문에 1940년에 시작된 이래 특히 1955년경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크게 발전하였다. 이것은 단순한 분석 외에 응용범위가 넓기 때문에 자연과학 ·공학 ·농학 ·의학 ·약학 등외에 기타 여러 분야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 Gas chromatograph mainframe
1) Column Oven - Inner volume : 280(w) x 280(H) x 175(D) mm, 13.7 liters
2) Injection port - Maximum 3 independently temperature controlled injector units are provided.
○ Flow Control Unit
1) Split/splitless mode - Pressure range : ~ 970 kPa
2) Direct injection mode - Pressure range : ~ 970 kPa
Detectors
1) Flame Ionization Detector(FID) - Operational temperature range :∼450℃
○ Autosampler system
1) Sample Injection Method : Liquid sample injection via special syringe.
2) No. of Samples : 1.5ml sample vials 6, Sampler : 150vials(1.5ml), 96vials(4ml)
강창한 연구원 (전화 051-720-8922, 이메일 dlzhtkd@bt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