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거점 운영 등 트리플 A, 상생형일자리사업 추진 등 내외부 의견수렴으로 선정
부산테크노파크는 내부직원과 기업 등 외부관계자 의견을 단계적으로 조사해 ‘2021년을 빛낸 부산테크노파크 대표성과 10선’을 선정해 발표했다.
부산테크노파크는 최근 5년간 지속적인 사업확대 전략을 추진하여 2021년 한 해 동안 중소벤처기업부 등 중앙부처와 부산광역시로부터 217개 사업을 유치하고, 총예산 1,867억 원을 확보해 1,498개 기업에 대해 기술개발과 사업화 등을 지원했다. 그 중 기관의 위상을 강화하고 지역 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되는 성과를 거둔 사례를 조사해, 내부직원이 선발하고 외부관계자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선정했다.
부산테크노파크가 뽑은 2021년 대표성과 10선은 먼저 부산테크노파크 고유기능인 진흥계획‧성과평가‧거점운영사업에 대한 중앙정부 평가에서 세 가지 모두 A 등급을 달성하여 향후 지역예산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국내 최초로 전기차 부품이 아닌 전체 차량의 전자파 시험인증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해 해외 자동차 업계의 시험수요를 발굴하기도 했다.
또한 상생형 일자리 사업으로 전기차 부품 허브센터 구축을 통해 관련 장비를 구축하고 지역 자동차 부품업계의 전기차 전환 대응을 지원했으며 수소생산기지 실증, 신재생에너지 보급 등을 통해 탄소중립 도시를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청정공기 연관산업 육성, 고령친화용품 사용성 평가 및 확산 등으로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특화산업 육성에 필요한 장비구축, 기술개발, 기업지원을 맞춤형으로 수행했다.
특히, 지난 8월에는 지산학협력센터를 개소하고 연말까지 부산시 전역에 15개의 지산학협력센터 브랜치를 개소하여 산학협력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중장기 방향을 제시했다.
영세한 창업초기 기업을 위해 테크노파크 공간 내 입주기업에 대한 임대료 감면과 공인시험규격 확대를 통해 보유한 장비의 활용분야를 확대한 것도 외부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다.
부산테크노파크 김형균 원장은 “10선을 꼽고보니 그간 부산TP 임직원의 노력이 보이는 듯해 진심으로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며 “이번 대표 10선을 선정하며 외부 관계자들의 의견을 많이 청취했는데, 앞으로도 기관의 주요 성과와 운영 방향에 대해 내부직원 뿐만 아니라 여러 외부 관계자, 그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공유하고 의견을 수렴하여 업무를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부서 | 제목 |
---|---|
01 정책기획단 |
진흥계획‧성과평가‧거점운영사업 트리플 A ㆍ(정책기획) 지역산업진흥계획, 지역혁신성장계획, 신규과제기획 등 부산지역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기술단지 거점기능강화 추진 ㆍ(성과확산) 지역산업 성과분석 및 우수사례 도출, 성과확산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매출액 5조4,491억 원, 종업원수 12,204명) |
02 미래수송기기기술단 |
국내 최초 전기차 전체 전자파 시험인증평가 시스템구축 ㆍ국내 최초 전기자동차 전자파적합성평가 장비구축으로 지역 부품기업이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차 기반의 생산기반 진입 및 강화, 확대 ㆍ지원성과 : CE인증 및 연간 3,600억 매출증대 기여 |
03 클린테크기술단 |
수소생산 기지 구축 ㆍ시내버스 공영차고지용 수소복합스테이션(생산·공급·충전) ㆍ도시가스를 원료로 매일 수소버스 40대 충전 분량의 수소 생산 |
04 미래수송기기기술단 |
전기차 e파워트레인 부품기술 허브센터 구축(상생형일자리사업) ㆍ(센터구축) 부산광역시 강서구 생곡동 약 850평 규모 ㆍ(장비구축) 기술개발 및 시험분석 지원을 위한 장비 3종 구축 - 구축장비 : 250kW 모터다이나모 시스템, 기어측정기, 3차원 측정기 |
05 지산학협력단 |
지산학협력센터 개소 및 지산학 브랜치 15개소 확산 ㆍ(기업) 기업연계 기술협력 강화를 위한 (주)파나시아 등 6개 기업 ㆍ(기관) 고유기능 기반 산학협력 강화를 위한 부산산학융합원 등 5개 기관 ㆍ(TP) 전사적 지산학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센탑 등 4개 센터 ㆍ부산 지산학협력 Scale-Up 컨퍼런스 개최 등 네트워크 운영 10건 |
06 기업지원단 |
임대공간 입주율90% 달성 및 착한 임대료 감면 지속 ㆍ기업 139개사, 기관 11개, 입주율* 90.0%(11월말) * `19년 63.1%(103사) → `20년 84.8%(120사) → `21년 90.0%(139사) ㆍ임대료 50%(9개월) 감면 : `21년 138개사 3.54억원* 지원 |
07 클린테크기술단 |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태양열, 연료전지) 보급 ㆍ(태양광) 450개소 2,906kW, (태양열) 9개소 54㎡, 연료전지 10kW ㆍ관련기업 지원성과 : 지원기업의 매출증가 211억원, 고용증가 23.7명 |
08 지능형기계기술단 |
청정공기산업 및 전후방 연계산업 활성화 ㆍ(장비구축) 기술개발 및 시험분석 지원을 위한 장비 6종* 구축 추진 * 호흡기 보호구 시험 시스템, 미세먼지 센서 성능평가 시스템 등 ㆍ(역량강화 지원) 기술지원, 사업화 지원 60건, 시험인증 지원 232건 |
09 라이프케어기술단 |
고령친화용품 사용성 평가 및 시험인증 지원 ㆍ다축모터하중인가시험기, 복합진동시험기 등 장비 활용 지원(375건) ㆍ고령친화우수제품 신규심사 및 사후관리(14개 품목, 50개 제품) ㆍ고령친화우수제품 사용성평가(50건), 기업지원(9건), 교육/세미나(1건) |
10 기업지원단 |
노후장비 개선 및 KOLAS 등 인정규격 확대 ㆍ노후장비 개선전략을 바탕으로 생산장비 고도화지원사업(10억) 선정 ㆍ(KOLAS 인정현황) `19년 37개 규격 → `21년 59개 규격으로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