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장비현황

SNS 공유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시설장비등록번호
NFEC-2020-05-262661
제작사명 모델명
Thermo Fisher Scientific iN10
표준분류
화합물전처리/분석장비 > 분광분석장비 > 푸리에변환적외선분광기

※ 정보출처 :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www.zeus.go.kr, T.1670-0925)

설치장소 : 4공학관

  • 장비설명

    • 가.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 사양 1) 인터페로미터(Interferometer) : Michelson 인터페로미터 2) 광원 : SiN (10년 보증기간) 3) 스펙트럼 측정 범위 : 7,800 ~ 350 cm-1 4) 빔 스플리터 : 다중 코팅된 KBr 빔스플리터 5) 신호대 잡음비 : 55,000:1 6) 파수 정확도 : 0.01cm-1 7) 분해능 : 0.09cm-1 8) 검출기 : DLaTGS 가) 12,500 ~ 350 cm-1 9) 자동화된 Validation wheel standard 가) Beam Attenuation screen 나) NG-11 Glass 다) NIST traceable 1.5ML polystyrene 필름 10) 간섭계 정렬 : 디지털 다이나믹 얼라인먼트 나. 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 현미경 사양 1) 인터페로미터(Interferometer) : Michelson 인터페로미터 2) 검출기 : 3개 이상, 3개 이상의 검출기가 하드웨어의 교환 없이 운영되어야 함. 가) DLaTGS w/KBr 검출기 - 액체질소 없이 24시간 사용 가능함 - 스펙트럼 범위 : 7,600 – 450 cm-1 나) MCT 검출기 - 액체질소 유지시간 : 18시간 - 스펙트럼 범위 : 7,600 – 670 cm-1 다) 다중 포인트 초고속 맵핑 검출기 - 액체질소 유지시간 : 18시간 이상 - 스펙트럼 범위 : 7,600 – 715 cm-1 3) 스펙트럼 측정 범위 : 7,800 ~ 450 cm-1 4) 빔 스플리터 : 다중 코팅된 KBr 빔스플리터 5) 신호대 잡음비 : 50,000:1 6) 분해능 : 0.4cm-1 이하 7) 자동화된 디지털 ATR 압력 조절 - 압력 강도 : 0 – 100 - 경고 시스템 : 색 및 숫자 8) 간섭계 정렬 : 디지털 다이나믹 얼라인먼트 9) 3개 이상의 LED 조명기 10) 15X Cassegrain 대물렌즈 및 콘덴서 11) 액체 질소 충진 없이 50㎛ 크기 시료 분석이 가능해야 함 12) 2“ X 5” 고 정밀 자동 스테이지 13) 자동화된 ATR 압력 조절을 이용한 ATR 맵핑이 가능해야 함 14) 모자이크 : 35mm X 35mm 까지 한 번에 가능해야 함 15) 적외선 분광 현미경 시스템 내의 DLaTGS 검출기를 이용한 장비의 진단 기능이 제공되어야 함 16) 실시간 보기 및 스펙트럼 확인, 라이브러리 검색이 가능해야 함 다. 적외선 분광기 운용 시스템 사양 1) 서치 및 라이브러리 매니저 2) 수집된 스펙트럼 라이브러리 도입 3) 대기 영향 억제 – H2O, CO2 피크 제거 기능 4) 장비 진단 기능 – DLaTGS 검출기를 사용한 장비의 진단 기능 - 파트 및 악세서리의 자동 인식 및 진단 기능 5) 피크 확인 6) 적외선 스펙트럼 해석 7) 복합된 화학 성분의 정보 추출을 위한 다성분 검색 및 해석 8) 정량 분석 소프트웨어 9) 적외선 스펙트럼 수집과 실시간 스펙트럼 미리보기, 실시간 스펙트럼 찾기 기능 10) 자동화된 백그라운드 위치 찾기, 특정 위치, 특정 스펙트럼을 백그라운드로 설정 가능 11) 자동 분석 소프트웨어 가) 자동 입자 분석 : 미세 입자의 크기 측정, 최적의 어퍼쳐 설정, 스펙트럼의 바탕값 측정, 미세입자
  • 구성 및 성능

    • 가. 유기화합물, 유기금속 화합물, 고분자, 웨이퍼, 세라믹, 박막, 코팅 등의 성분을 분석하는 장비 나. 원리 및 특징 : 적외선(infrared) 광원을 시료에 조사하게 되며, 시료에서 흡수 또는 반사 되는 빛을 측정하여 각종 유기물의 원료, 화학적 성분, 표면의 코팅물질, 이물질 등을 분석. 미세 시료와 같이 국소부위에 대한 정성 분석 및 정량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