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장비현황

SNS 공유

5G기반 드론 통합 관제 시스템 5G based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drone

시설장비등록번호
NFEC-2023-02-285543
제작사명 모델명
에스케이텔레콤 T live studio Server
표준분류
데이터처리장비 > 하드웨어 > 달리 분류되지 않는 하드웨어

※ 정보출처 :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www.zeus.go.kr, T.1670-0925)

설치장소 : 6동

  • 장비설명

    • ◌ 드론관제 시스템 1. 비디오월 장비 a. 영상표출시스템(비디오월) : 55” LED 멀티비전 20ea 이상 b. 1080P / 1920 x 1200@60Hz, 4K 지원 2. 드론관제 PC (관제실) a. 동시접속 - 드론 16대 이상 동시 관제 b. KC인증 또는 초경량비행장치사용사업을 등록한 산업용드론 동시 관제 ◌ 서버관리 시스템 1. 드론관제 및 영상 서버 a. 동시접속 : 드론 40대 이상, 드론관제 PC (GCS) 40대 이상 b. 영상중계 : 드론영상 40채널 이상 수신, 400채널 이상 배포 2. 스토리지 서버 : 관제센터 내 서버 및 PC와 연동하여 실시간 수신영상 저장/관리 기능 제공 3. 네트워크 및 보안 시스템 ◌ 드론운영현장 시스템 1. 드론탑재용 미션컴퓨터 a. 드론관제센터 내 드론관제 및 영상 서버로의 영상전송 및 드론관제 PC 연동 b. 비행경로 설정/저장/불러오기, 이/착륙, 비상복귀 2. 드론관제 PC (현장) a. 동시접속 - 드론 16대 이상 동시 관제 b. 영상모니터링 - 드론영상 16채널 이상 수신, 표출 ◌ 영상후처리 시스템 a. 웨이포인트, 2D 맵핑, 경사 맵핑, 선형 맵핑 b. KML 파일을 사용한 미션 계획 지원 c. POS 데이터, 지상기준점(GCP) 또는 모두를 활용한 보정 지원 d. 트루 컬러 포인트 클라우드 생성 지원
  • 구성 및 성능

    • ○ 5G 상용통신망을 사용하여 모니터링 및 관제에 대한 거리의 제약이 없으며 , 비상시 자동으로 LTE 통신망으로 변경되어 운용하므로 인해 비행 안정성 확보 ○ 최대 40대까지 동시 모니터링 및 관제 가능 - 기존의 드론 통신 방식인 RF통신을 탈피, 상용통신망을 활용하여 1대N으로 모니터링 및 관제가 가능하며, 최대 40대까지 동시에 임무 수행 가능 ○ 현장 중심에서 컨트롤 타워 중심의 통합 관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중앙 집중식 관제 시스템 구축 - 현장에서 운용되어 송출되는 영상을 모니터링 하는 수준에서 탈피하여 SC(Service Controller)보드를 통해 관제실에서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를 직접 제어하여 원하는 영상을 획득 가능 - 상하좌우 방향제어뿐만 아니라 확대, 축소를 통해 정보를 선명하고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으며, 객체추적 기능을 적용하여 원하는 물체의 이동정보를 실시간을 확인 가능 ○ SC(Service Controller)보드와 연동을 통한 드론 플랫폼 운용 다양성 확보 - 구축되는 통합관제시스템과 연동되는 SC보드를 통해서 기존에 활용되고 있는 FC보드를 비롯하여, 기업체에 개발되는 FC에도 적용 할 수 있어 다양한 드론에 관제 가능 ○ 사용자를 위한 손쉬운 접근성 - 기업별 계정을 부여하여 관리자가 아닌 누구나 서버로 접근하여 원하는 데이터를 쉽게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