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장비현황

SNS 공유

근기능 증진 분석 시스템 Physical Strength Evaluation Analysis system

시설장비등록번호
NFEC-2022-06-279889
제작사명 모델명
EGYM e-Gym Strength
표준분류
임상의료장비 > 임상측정/진단장비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임상측정/진단장비

※ 정보출처 : ZEUS 장비활용종합포털(www.zeus.go.kr, T.1670-0925)

설치장소 : 의료산업기술지원센터

  • 장비설명

    • * 등속성운동(Isokinetic exercise)기반 서킷형(Curcuit)재활 피트니스 제품군을 메인모듈로 구성하여 사용자별 적합한 운동처방을 이행하고, 이행되는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시계열적 특성을 검토하여, 재활훈련 수행 및 건강 데이터 제공 - 순환식 근 기능 운동 장비 및 유산소 운동 장비 1.) Leg Extension (하지중심) 2.) Abdominal Crunch (상지중심) 3.) Back Extension (체간중심) 4.) Leg Curl (하지중심) 5.) Chest Press (체간중심) 6.) Seated Row (상지중심) 7.) 중력조절 보행 트레드밀 (유산소 및 보행훈련) 8.) Recumbent Bike (유산소) 9.) Ascent Trainer (유산소) - 순환식 스트레칭 장비 및 균형 훈련 장비 1.) MOBILITY HIP (고관절 및 골반중심) 2.) MOBILITY CHEST (가슴 및 어깨중심) 3.) MOBILITY QUADRICEPS (허벅지 및 하지중심) 4.) MOBILITY CALF (종아리 및 하지중심) 5.) MOBILITY LAT FLEX (체간 중심) 6.) MOBILITY GLUTEUS (골반 및 둔부) 7.) 교차진동 운동기 (균형 및 순환계) - 등속성 근기능 평가 장비 1.) 등속성 등척성 근기능평가 장비 - 근 기능 증진분석 시스템 통합 및 안전설비 1.) 시스템 통합 설비 2.) RFID 3.) 낙상예방용 바닥 돋움공사 4.) 환기순환설비 5.) 사용자 모니터링 카메라 6.) 재환훈련 안전 리프트
  • 구성 및 성능

    • 근 기능 증진 분석 시스템은 재활복지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 측정/분석/평가시스템 기반 실증 인프라 구축에 있어 사용적합성평가 결과의 신뢰성 및 재현성을 확보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인 사용자(본 사업에서의 가장 중요한 제품 평가자 역할 수행)를 대상으로 사용자의 근 기능적 요소를 추출하여 사회적 약자를 기반으로 한 시제품설계, 사용자의 근 기능적 역학강도를 반영한 성능시험분석, 근 기능적 요인을 변수로 한 군집분류별 사용적합성평가 및 실증테스트 결과 분석 및 고령자를 포함한 집단에 대한 Normal Data 확보를 위한 데이터 취득 장비임